이혼소장답변서 제출하는 방법은
이혼소장답변서 제출하는 방법은
본래 행복한 가정을 꾸리기 위해 결혼을 했지만, 다양한 이유로 혼인 생활을 종료하는 부부가 늘고 있습니다. 부부 간에 의견 조율이 되지 않아서, 또는 둘 중 한 사람의 외도로 인하여, 재산적인 문제 등 다양한 이유로 이혼을 결심하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본인은 원만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갑작스럽게 자신에게 이혼 소장이 날아오게 된다면 배신감과 충격을 크게 받을 것입니다. 이때 받게 되는 소장에는 본인의 유책사유와 요구하는 내용이 적혀 있는데요. 이것을 꼼꼼하게 살피지 않고 흘려 넘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혼소장답변서를 작성해서 제출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만약 자신이 이혼을 원하지 않는다고 하여 이를 제출하지 않는다면 상대방의 소장에 적힌 내용을 모두 인정하고 원하는대로 해주겠다는 뜻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말하는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이혼소장답변서를 3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소장이 전달되어 확인한 것이라면, 피고 측에서는 입장 표명이 중요할 것입니다. 두 상황으로 나눠서 보통은 진전되겠죠.
이혼에 대해 동의하고 의사가 있는 것이라면 이혼에는 동의하지만, 다른 사람이 요청하는 내용은 지나치다는 내용이나 혼인 해소를 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다른 사람이 주장하는 유책사유에 대해 인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내용을 이혼소장답변서에 작성하면 됩니다. 이것은 법적인 싸움이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려면 자신이 유리한 방향으로 가야 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대한 시간을 투자하고 준비해야 하지만 제출 기한은 앞서 말했듯이 30일 이내가 되어야 합니다.
짧다면 짧고 충분하다고 한다면 충분할 수 있는 시간이지만, 일정 기간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고 생각하여 너무 시간을 낭비한다면 이후 매우 촉박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급하게 진행한다면 일을 그르치고 부족한 점이 나오기 마련인데요. 이것은 법적인 문제로 여겨지기에 어렵고 생소한 상황에서는 법률대리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법조인의 도움으로 답변서를 작성하고 제출한 사례를 한 가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내 측이었던 K씨는 같은 회사 부서원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를 남편 L씨가 확인하여 난감한 상황이었습니다.
오랫동안 함께 일해 온 동료라 친분이 두터웠고 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둘이 대화를 나눈 내용을 보고 남편이 바람을 피운다는 오해를 하게 된 것인데요. 결국 이 오해로 인해 남편 L씨는 집을 나가게 됐고, K씨는 오해를 풀기 위해 계속 연락을 해봤지만 연락이 되지 았으며 자신에게 돌아온 것은 이혼 소장뿐이었습니다. K씨는 배우자 측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전혀 확인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오해를 한 것으로 회복할 기회를 주지 않고 집을 나간 뒤 자신에게 소장을 보내왔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특별하게 싸움이 있던 것도 아니고, 이전에도 계속해서 원만하게 가정을 꾸려왔던 두 사람은 화목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본인과 가장 두터운 신뢰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L씨 측에서 이와 같은 태도를 보였다면 배신감을 느꼈을 것입니다. 결국은 마냥 방관하고 있을 수가 없어서 법조인을 찾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상담을 하여 선임이 되었습니다. K씨는 L씨에게 배신감이 들었고, 계속하여 연락했지만 전혀 연락이 되지 않았는데요. 이에 본인 역시 더는 신뢰관계를 회복할 수 없다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이혼이 진행되는 것에 이의가 없었고, 결국 이혼을 진행하기로 결심했습니다. 따라서 이혼소장답변서에 L씨가 주장한 자신의 외도행위는 사실이 아니라 누명을 벗으려고 했지만 일방적으로 거부하고 집을 나간 뒤 오랜 시간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에 재판이 이혼 이유 중 하나가 되는 악의적 유기를 이유로 남편 측의 잘못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전 직장 동료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는 모두 출력해 증거자료로 함께 제출했고, 앞으로 재판부는 이를 인정해 위자료 청구와 재산 분할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됐습니다.
이혼소장답변서를 작성한 사례로 본 K씨는 배우자가 일방적으로 오해한 것이며 연락이 두절된 후 받는 소장에서 배신감을 느꼈고, 가장 믿고 지내야 할 관계에서 아무 말도 듣지 않고 혼자 판단해 깨뜨린 것이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오히려 책임을 지게 된 것입니다. 법률적인 대응이 잘 되어 있고, 그 결과도 매우 만족했습니다. 법률대리인의 도움을 받고 안건의 초기에 할 수 있는 이혼소장답변서를 작성할 때 도움받아 더 순조롭게 진척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약 이혼 소장이 온 경우에는 최대한 빠르게 법률가의 도움을 받고 논리적으로 대응하여 답변서를 작성하고 이를 제출하면서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긍정적인 결과가 될 것입니다.